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3

SOLID 원칙에 대하여 SOLID: 단일 책임, 개방 폐쇄, 리스 코브 치환, 인터페이스 분리, 의존성 역전 원칙을 두 문자어 법칙으로 정리한 용어. 객체 지향 설계에 대한 원칙이라고 하지만 사실 모던 프로그래밍 전반에 널리 적용되는 클린 코드 원칙이라고 볼 수 있다. 해당 원칙을 한마디로 간단히 정리하면 하나의 책임 단위로 코드를 잘 분리해서 잘 추상화 시키고 추후 변경이 적게 설계해라이다. 단일 책임 원칙의 경우 하나의 객체가 하나의 책임을 가지도록 설계하는 원칙이다. 그 책임에는 명확한 범위가 없다. 예를 들어서 식사라는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하면 식사라는 행위 자체가 하나의 책임이 될 수 있고 그 식사를 사람과 메뉴, 식기, 예절, etc 등의 세부적인 책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걸 어떻게 분리하는지는 판단에 따라 다르.. 2022. 5. 4.
중요하고 해야할일은 늘 많지만 늘 귀찮다. 적절한 완성도를 끌어내는 것 자체도 많은 고민이 필요해서 그런거 같다. 내용에 신경써서 포스팅을 시작하니 글 하나 완성하기도 마땅치 않다. 2022. 5. 3.
프론트엔드 관련 링크 모음 2 https://velog.io/@gomjellie/You-dont-know-type 너희는 전혀 타입하고 있지 않아 타입 레벨 프로그래밍 velog.io https://black7375.tistory.com/79 [스압/데이터주의] 웹 최적화 방식 모음 - 3. Layout 및 렌더링 [스압/데이터주의] 웹 최적화 방식 모음 - 0. 전반적 원칙과 원리 [스압/데이터주의] 웹 최적화 방식 모음 - 1. 다운로드 [스압/데이터주의] 웹 최적화 방식 모음 - 2. 파싱 및 렌더링 트리 [스압/데이 black7375.tistory.com 2022. 5. 3.
클린코드와 표준 협업에서는 사람이 읽기 좋은 코드를 중요시 여긴다. 그를 위해서 각종 컨벤션과 린터등의 코드 스타일링 도구들이 존재할 정도로 사실 좋은 코드와 읽기 좋은 코드 중 무엇을 중요시 여기는지 명확하진 않지만 좋은 코드와 읽기 좋은 코드의 차이가 거의 없어서 구분 짓기 힘드니 명확히 구분 짓는 것도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는 것 같다. 개발자는 대부분 클린코드를 생산 하는 것을 지향한다. 물론 이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존재하겠지만 일정상의 이유나 클린코드는 좋은 코드가 아니다. 등의 이유는 리팩토링 기법에도 상반된 기법이 존재하듯이 클린코드 자체도 사실 이미 명확한 표준이 아니라 추상적인 지향점을 표현하는 단어다보니 의미가 없는 반박이다. 나는, 적어도 이글에서는 클린코드를 적절한 코드를 나타내는 단어로 사용한.. 2022.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