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8

무게 중심 중심이 흔들리면 힘을 제대로 낼 수 없다. 힘을 낼려면 무게중심을 보통 땅에 잘 고정 해야한다. 문제는 그러면 힘을 쓰는 동안은 움직일 수 없다. 움직이면서 흔들리지 않을려면 무게 중심이 늘 움직이면서 움직이지 않아야한다. 모순된다. 중심을 고정 된 좌표 값이 아닌 상황에서 작용 반작용이 온전할려면 결국 흐름이다. 물속의 발버둥이 변화를 만들듯이 대기 안에서 중심을 잡아야한다. 그럼 대기가 없는 무중력 공간은? 의지나 마음으로 좌표를 고정 할 정도까지 정신력이 강한편은 아니니 모르겠다. 애초에 뭐 그런 환경이면 이미 죽었겠지. 2022. 3. 18.
[프로그래머스][LEVEL3] 풍선 터트리기 # 문제 원문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8646 코딩테스트 연습 - 풍선 터트리기 [-16,27,65,-2,58,-92,-71,-68,-61,-33] 6 programmers.co.kr 일렬로 나열된 n개의 풍선이 있습니다. 모든 풍선에는 서로 다른 숫자가 써져 있습니다. 당신은 다음 과정을 반복하면서 풍선들을 단 1개만 남을 때까지 계속 터트리려고 합니다. 임의의 인접한 두 풍선을 고른 뒤, 두 풍선 중 하나를 터트립니다. 터진 풍선으로 인해 풍선들 사이에 빈 공간이 생겼다면, 빈 공간이 없도록 풍선들을 중앙으로 밀착시킵니다. 여기서 조건이 있습니다. 인접한 두 풍선 중에서 번호가 더 작은 풍선을 터트리는 행위는 최대 1번만 할 수 있.. 2022. 3. 11.
커리어 회사가 내 커리어 방향이랑 안맞아서 별로거나 돈 가지고 장난치려고하거나 그냥 네임벨류라도 있어서 거기서 경력쌓은게 유의미하기라도 하면 좋겠지만 뭔가 하나씩 부족하다. 제대로 된곳 찾기는 쉽지 않다. 2022. 3. 9.
[웹챗] 컨텍스트 정리하기 해당 사이드의 경우 특정 상태관리 오픈소스에 대한 종속성을 없애기 위해서 React hook중 context 와 state 훅 만을 사용해서 글로벌 state를 관리한다. 일단 기존의 context 사용 방식의 경우 여러 컨텍스트를 각 도메인(영역)에 맞게 여러개 만들어서 각 context가 필요한 영역에서 가져다 쓰는 방식이였는데 해당 프로젝트 목적인 사용자 커스텀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 글로벌 state를 많이 추가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고, 그럴 경우 기존의 방식으로는 너무 난잡하고 코드 스멜이 심해지는 점 때문에 각 state를 도메인 별로 또 state별로 분리해서 관리할 필요성을 느꼈다. Context를 정리하는 가장 쉬운 방식은 Recoil이나 RTK 같은 상태관리 오픈소스를 사용하는 것이겠지.. 2022. 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