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민7

보편타당한 결론 경험은 상당히 유용하고 중요하다. 다만 경험의 토대로 이론적인 즉 원리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해당 경험은 보편 타당하다고 볼 수 없다. 경험상 해당 부분이 필요한 점이 많았기에 그렇게 한다. 라는 것은 해당 체계와 환경에서는 통용 될지 몰라도 다른 환경과 체계에서는 유의미한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는다. 그렇기에 경험적 근거는 늘 변화하는 상황에 맞는 새로운 근거를 찾아야한다. 이것이 해당 부분에 대한 원리적인 접근이나 설계가 필요한 이유이다. 보편타당한 또는 최소한도로 어느 상황에서나 적절한 판단 근거 역할을 할 수 있는 무언가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경험적인 부분에서 끝날게 아니라 해당 경험적인 근거들을 추상화 시켜서 판단 할 수 있는 원리 체계를 만들어야한다. 만약 그것을 할 수 없다면 사실 그건 겉으.. 2022. 4. 12.
프론트엔드 설계 고민 -2- 일반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부분은 어떤 게 있을까? 해당 웹의 라우팅, 해당 웹의 UI, 해당 웹의 상태 사용자 액션에 따른 요청 처리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간단하게 정의 내리면 라우팅은 두 가지 측면을 가진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절차라는 측면과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로 다른 도메인을 가진 기능이라는 측면으로 말이다. 즉 동일 도메인 내의 플로우나 서로 다른 도메인을 라우팅으로 구분지어서 제공 할 수 있다. 도메인의 경우 보통 루트에 가까운 라우팅으로 나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특정 액션이 복잡하거나 반드시 특정 절차를 따라서 지켜져야 한다면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더라도 서로 다른 도메인으로 분리해서 취급 하는게 좋을 것이다. 라우팅을 통해서 코드스플릿까지.. 2022. 4. 8.
프론트엔드 설계 고민 -1- SPA 컴포넌트 방식의 프로젝트의 경우 기본적인 entry 포인트가 존재한다. 그게 vue든 앵귤러든, 스벨트든 말이다. index로 명명하든 main으로 명명하든 기본적인 SPA의 entry가 존재하고 이를 통해서 다양한 번들러나 트랜스 파일러들이 프로젝트를 파싱 해서 빌드한다. 이때까지는 보일러플레이트들을 따라서 만들다 보니 리액트 기준으로 index 파일에 store연결 등과 App컴포넌트(웹 애플리케이션 entry)를 바인딩하고 있었는데 최근 모종의 기회로 해당 부분에 대해서 생각을 되짚어볼 기회가 생겼다. 내가 내린 index와 app 파일의 정의는 각각 index: "개발 entry", app: "웹어플리케이션 entry"인데 store를 바인딩하는 것을 index에 넣는게 맞는 것일까? 각자.. 2022. 4. 5.